산스크리트어 pa˜nca-skandha의 역어. 오음(五陰)이라고도 번역되는 불교용어. skandha는 '집합'ㆍ'구성 요소'라는 의미로서, 오온은 개인 존재를 구성하는 '5개의 집합', 즉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을 말한다.
'색'(rūpa)은 물질적인 형태로서 육체를 의미한다.
'수'(vedanā)는 감수(感受) 작용인데, 의식 속에 어떤 인상을 받아들이는 것, 감각과 쾌ㆍ불쾌 등의 단순 감정을 포함한 작용을 말한다.
'상'(samj˜nā)은 표상 작용으로 의식 속에 상(象)을 구성하고 마음속에 어떤 것을 떠올려 관념을 형성하는 것, 대략 지각ㆍ표상 등을 포함하는 작용이다.
'행'(samskāra)은 형성 작용으로, 능동성ㆍ잠재성 형성력을 의미하고, 우리가 경험하는 어떠한 것을 현재에 존재하는 것처럼 형성하는 작용을 말하며, '수'ㆍ'상ㆍ'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한 것으로서 특히 의지 작용을 말한다.
'식'(vij˜nāna)은 식별작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상을 구별하고 인식ㆍ판단하는 작용, 혹은 마음의 작용 전반을 총괄하는 주체적인 마음의 활동을 말한다.
'수' 이하의 4온(四蘊)은 정신적 요소로 색온(色蘊)과 결합하여 심신(心身)을 이루기 때문에 '명색'(名色, nāmarūpa)이라고도 불린다.
개인의 존재는 이 오온에 의해 성립하는데, 세속적 입장에서는 이렇게 하여 성립한 모든 것을 총괄하여 '아'(我)ㆍ'자기'(自己)라고 부른다. 그러나 우리의 중심 주체는 이러한 '집합'속에서 인식되지 않는다. 오온은 현상적인 존재로서 끊임없이 생멸ㆍ변화하기 때문에, 언제나 머물러 있는 불변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적 존재는 오온(五蘊)이 임시로 모여 구성된 것(五蘊假和合)이고, 오온(五蘊)의 그 어느 것도 '아'로 불리울 수 없다(五蘊無我)고 한다. 오온은 또한 윤회 생존의 기반이라는 의미에서 '오취온'(五取蘊)이라고도 불린다. 후에 오온의 개념 내용이 확대되어, 현상 세계의 모든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이 되었다. 대승에서는 오온 그 자체도 또한 공(空)이고 실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온 [五蘊] (철학사전, 2009., 임석진, 윤용택, 황태연, 이성백, 이정우, 양운덕, 강영계, 우기동, 임재진, 김용정, 박철주, 김호균, 김영태, 강대석, 장병길, 김택현, 최동희, 김승균, 이을호, 김종규, 조일민, 윤두병)
'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파불교[ 部派佛敎 ] (0) | 2023.03.15 |
---|---|
수면의 단계 (0) | 2023.01.29 |
NCS 란? (0) | 2023.01.26 |
육바라밀(六波羅蜜) (1) | 2023.01.15 |
사제(四諦), 사성제(四聖諦) (0) | 2023.01.15 |